거북이같은 개발자의 집필 공간
Evans Library
함수형 프로그래밍에서 코드를 작성한다는 것은 프로그램에서 수행해야하는 여러가지 행위들을 함수로 표현하고, 또 그 함수들을 요리조리 잘 합성해가며 거대한 프로그램을 만들어나가는 패러다임이다. 결국 함수형 프로그래밍에서 함수를 합성하는 행위라는 것은 이 패러다임의 근간이 되는 개념이기 때문에 굉장히 큰 의미를 가질 수 밖에 없는데, 문제는 이렇게 함수를 합성하는 과정에서 크고 작은 현실적인 문제들이 빵빵 터진다는 것이다.
2020 Jan 27
이번 포스팅에서는 순수 함수에 이어 함수형 프로그래밍에서 중요하게 여기는 개념인 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한다. 사실 순수 함수를 설명하다보면 불변성에 대한 이야기가 꼭 한번은 나오게 되는데, 대부분 “상태를 변경하지 않는 것”이라는 짧은 정의로 설명하거나, 혹은 불변성을 해치는 행위들을 예시로 들고 이런 행위들을 금지 행위로 규정하며 설명을 진행하게된다.
2020 Jan 05
이전에 작성했던 기존의 사고 방식을 깨부수는 함수형 사고 포스팅에 이어, 이번 포스팅에서는 함수형 프로그래밍이 지향하는 관점을 실제 프로그램에 구현하기 위해 알고 있어야하는 필수적인 개념 중 하나인 에 대한 이야기를 해볼까 한다.
2019 Dec 29
이제 필자의 마지막 20대를 보내는 2019년도 어느덧 10일 정도 밖에 남지 않았다. 물론 서른이 된다고 해서 크게 달라지는 것은 없지만, 스무살이 되었을 때 이후 처음으로 나이 앞 자리가 바뀌는 만큼 기분이 싱숭생숭 하기도 하다.
2019 Dec 22
최근 많은 언어들이 함수형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을 도입하며, 이에 대한 개발자들의 관심 또한 나날히 높아지고 있다. 필자 또한 라는 책을 읽으면서 기존의 패러다임과 사뭇 다른 함수형 프로그래밍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던 기억이 있다.
2019 Dec 15
최근 4일 동안 심한 몸살에 걸려 침대에만 누워있으면서, 컴퓨터를 멀리 하고 오랜만에 책을 읽었다. 마침 입사 예정인 회사에서 “린 스타트업”과 “파워풀” 두 권의 책을 보내주었기 때문에 무엇을 읽어볼까하는 고민을 할 시간을 줄일 수 있었다.
2019 Dec 04
혼잡 제어란, 말 그대로 네트워크의 혼잡 상태를 파악하고 그 상태를 해결하기 위해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것을 이야기한다. 네트워크는 워낙 광대한 블랙박스이기 때문에 정확히 어디서 어떤 이유로 전송이 느려지는지는 파악하기 힘들지만, 단순히 정도는 각 종단에서도 충분히 파악할 수 있다. 그냥 데이터를 보냈는데 상대방으로부터 응답이 늦게 오거나 안오면 뭔가 문제가 있다는 것이니 말이다.
2019 Nov 26
은 원활한 통신을 위해 전송하는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고 네트워크의 혼잡 상태를 파악해서 대처하는 기능을 프로토콜 자체에 포함하고 있다.
2019 Nov 22
저번에 작성했던 TCP의 헤더에는 어떤 정보들이 담겨있는걸까? 포스팅에 이어 이번에는 TCP의 핸드쉐이크 과정과 그 속에서 변화하는 TCP 상태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려고 한다.
2019 Nov 17
지난 달, 다니고 싶었던 회사의 면접에서 기초 실력 부족으로 시원하게 박살났다. 다행히 면접이 끝난 직후 필자가 대답하지 못했던, 풀어내지 못했던 질문들과 문제를 깃허브에 정리해두었기 때문에 어떤 것을 공부해야하는지 바로 알 수 있었고, 한 달동안 컴퓨터 사이언스의 기초에 대한 내용을 집요하게 파헤쳤다.
2019 Nov 16
저번에 HTTP/3는 왜 UDP를 선택한 것일까? 포스팅을 진행하며 TCP에 대해 간단한 언급을 했었지만, 해당 포스팅에서는 기존의 HTTP에서 사용하던 TCP에 어떤 문제가 있었는지에 집중해서 이야기했었지만 이번에는 TCP 자체에 조금 더 집중해서 이야기해보려고 한다.
2019 Nov 10
최근 많은 IT 기업들이 개발자를 채용할 때 코딩 테스트를 시행하고 있다. 회사마다 어떤 스타일의 문제를 출제하는지 차이는 있지만, 대부분 간단한 알고리즘 풀이 또는 나 와 같은 사이트처럼 실무에서 겪을 만한 상황을 살짝 섞어놓는 느낌의 문제를 선호하는 것 같다.
2019 Oct 30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전 포스팅에 이어, 프로토타입을 사용한 다양한 상속 패턴에 대한 이야기를 해볼까 한다. 사실 자바스크립트에는 상속이나 캡슐화와 같은 개념이 명시적으로 존재하지는 않기 때문에 자바나 C++ 같은 클래스 기반 언어를 사용하던 개발자들은 자바스크립트에 클래스가 없다는 사실에 혼란스러워한다.
2019 Oct 27
이번 포스팅에서는 자바스크립트(JavaScript)하면 빠질 수 없는 에 대해서 한번 이야기해보려고 한다. 프로토타입은 자바스크립트를 ES5 시절부터 사용해오던 분들에게는 매우 익숙하지만 ES6부터 시작하신 분들은 대부분 클래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익숙한 개념은 아닐 것이라고 생각한다.
2019 Oct 23
이번 포스팅에서는 대표적인 자료 구조 중 하나인 에 대한 설명과 구현을 한번 해보려고 한다.
2019 Oct 12
🐢 거북이처럼 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