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Script의 let과 const, 그리고 TDZ
이번 포스팅에서는 JavaScript ES6에서 추가되었던 let
과 const
키워드에 대해서 자세히 포스팅하려고 한다. 부끄럽지만 지금까지 필자는 let
과 const
는 호이스팅이 되지 않는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하지만 얼마 전 친구와 대화하던 중에 let
과 const
도 호이스팅 대상체이지만 TDZ
라는 특수한 영역을 사용하여 참조를 방어하는 것임을 알게 되었다.
다른 분: 근데 var
와 다르게 let
이랑 const
는 왜 참조 에러가 발생하는 건가요?
필자: let
이랑 const
는 호이스팅 안될 거에요.
친구: let
이랑 const
도 호이스팅 되는데…? TDZ에 들어가 있어서 참조 에러 나는거야
필자: 된다고??? TDZ는 또 뭐여?
이런 부끄러운 일을 겪고 이번 기회에 변수 선언 키워드들에 대해 제대로 공부도 할겸 이번 포스팅을 작성하게 되었다.
var 키워드
var
키워드는 JavaScript ES5까지 변수를 선언할 수 있는 키워드로 사용되었다. var
키워드는 다른 언어랑 조금 다른 방식으로 작동했기에 다른 언어를 사용하다가 JavaScript로 처음 입문한 개발자들의 멘탈을 털어버리는 데 혁혁한 공을 세웠다.
var
키워드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변수의 중복 선언이 가능하다.
var name = 'Evan';
var name = 'Evan2';
console.log(name) // Evan2
이 코드는 변수 선언부가 가까이 붙어있으니 한눈에 아 name이 두번 선언되었구나
라고 한눈에 알 수 있지만 첫번째 선언부와 두번째 선언부 사이에 500줄의 코드가 있다면 이제 문제가 심각해진다. 이런 변수의 중복 선언 허용은 의도하지 않은 변수의 변경이 일어날 가능성이 충분하다.
호이스팅 당한다.
호이스팅은 쉽게 얘기해서 스코프 안에 있는 선언들을 모두 스코프의 최상단으로 끌어올리는 것
을 의미한다. 호이스팅은 JavaScript 인터프리터가 코드를 해석할 때 변수 및 함수의 선언 처리
, 실제 코드 실행
의 두단계로 나눠서 처리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인데 이게 또 굉장히 사람 헷갈리게 만든다.
console.log(name); // undeinfed
var name = 'Evan';
필자도 처음 JavaScript를 시작했을 때 아니 이게 왜 참조 에러가 안나지?
라고 생각했었다. 사실 호이스팅이 발생하면서 이 코드는 아래와 같은 방식으로 동작한다.
var name; // 선언부를 제일 위로 끌어올린다.
console.log(name);
name = 'Evan';
물론 이건 JavaScript 인터프리터가 내부적으로 코드를 이런 방식으로 처리한다는 거지 실제 코드 라인이 변경되거나 하는건 아니다.
어쨌든 이 호이스팅을 당하게 되면(호이스팅은 왠지 “당한다”는 표현이 잘 어울린다. 나도 여러번 당했기 때문에…) 인터프리터 언어임에도 불구하고 개발자가 코드를 읽는 순서와 코드가 실행되는 순서가 달라지게 되는 것이기 때문에 JavaScript에 입문할 때 헷갈리게 만드는 요인 중 하나다.
함수 레벨 스코프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는 블록 레벨 스코프를 사용하지만 JavaScript는 역시 다르다. var
키워드로 선언된 변수는 함수 레벨 스코프 내에서만 인정된다. 이건 사실 JavaScript에 익숙한 개발자들이라면 큰 문제가 되지는 않지만 역시 늅늅이 시절에는 굉장히 헷갈린다.
(function () {
var local = 1;
})();
console.log(local); // Uncaught ReferenceError: local is not defined
for (var i = 0; i < 10; i++) {}
console.log(i); // 10
함수 스코프만 인정되기 때문에 심지어 for
문 내부에서 선언한 변수 i
도 외부에서 참조 가능하다.
var 키워드 생략 가능
변수를 선언할 때 var
키워드를 붙혀도 되고 안붙혀도 된다. 역시 자유의 상징 JavaScript 답다. 너무 자유로워서 개발자가 한시도 긴장의 끈을 놓을 수 없게 만든다.
var globalVariable = 'global!';
if (globalVariable === 'global!') {
globlVariable = 'global?' // 오타 냄
}
console.log(globalVariable) // global!
console.log(globlVariable) // global?
실수로 globalVariable
변수를 globlVariable
변수로 오타를 냈다. 순진한 개발자는 globalVariable
변수의 값이 global?
로 변경되었으리라 기대를 하겠지만 아쉽게도 그 값은 오타낸 변수명인 globlVariable
이 가져갔다.
이런 경우도 간단한 코드에서는 디버깅이 쉽지만 조금만 코드가 복잡해져도 눈물이 흐르는 케이스이다.
let과 const 키워드의 등장
var
키워드의 경우 전역 변수를 남발하기가 쉽고 또 로컬 변수라고 해도 변수의 스코프가 너무 넓기 때문에 변수의 선언부와 호출부가 너무 멀리 떨어져 있거나 값이 의도하지 않게 바뀌는 경우를 추적하기 힘들다.
그래서 2015년에 발표된 JavaScript ES6에는 새로운 변수 선언 키워드로 let
과 const
가 추가되었다.
let
키워드는 var
와 마찬가지로 변수를 선언할 때 사용하는 키워드이고 const
키워드는 상수를 선언할 때 사용하는 키워드이다.
즉 const
키워드는 리터럴 값의 재할당이 불가능하다.
const callEvan = 'Hello, Evan!';
callEvan = 'Bye, Evan!'; // Uncaught TypeError: Assignment to constant variable.
그럼 이 친구들이 기존의 var
키워드와 다른 점은 무엇일까? 위에서 설명했던 var
키워드의 특징은
- 변수의 중복 선언이 가능하다.
- 호이스팅 당한다.
- 블록 레벨 스코프가 아닌 함수 레벨 스코프를 사용한다
- var 키워드는 생략이 가능하다.
이상 4개 였다. 여기에 대조되는 let
과 const
키워드의 특징부터 먼저 살펴보자.
let과 const 키워드의 특징
우선 위에서 설명한 var
키워드의 특징과 대조되는 점 부터 살펴보자.
변수의 중복 선언이 불가능하다.
이 친구들은 var
키워드와는 다르게 한번 키워드를 사용해서 선언한 변수는 재선언이 불가능하다.
var name = 'Evan';
var name = 'Evan2'; //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
let name = 'Evan';
let name = 'Evan2'; // Uncaught SyntaxError: Identifier 'name' has already been declared
const name = 'Evan';
const name = 'Evan2'; // Uncaught SyntaxError: Identifier 'name' has already been declared
이로써 나도 모르게 변수를 두번 선언해서 값이 변경되어 야근하게 되는 일을 방어할 수 있게 되었다.
호이스팅 당한다?
이게 바로 필자가 이 포스팅을 작성하게 된 이유이다. 필자는 let
이나 const
키워드가 호이스팅 되지 않는 줄 알았다.
그러나 위에서 설명했듯이 호이스팅은 JavaScript 인터프리터가 코드를 해석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일이기 때문에 let
이나 const
라고 한들 피해갈 수 있을리가 없다. 그렇다면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했을까?
변수 선언 키워드에 따라 다른 에러가 발생한다
console.log(name); // undefined
var name = 'Evan';
console.log(aaa) // Uncaught ReferenceError: aaa is not defined
console.log(name); // Uncaught ReferenceError: Cannot access 'name' before initialization
let name = 'Evan';
첫번째는 호이스팅 당한 var
키워드를 사용하여 선언한 변수를 호출한 모습이다. 당연히 참조 에러따윈 나지 않고 깔끔하게 undefined
가 출력된다.
두번째는 아예 선언한 적이 없는 변수를 호출하는 모습이다. Uncaught ReferenceError
가 발생하고 메세지는 aaa is not defined
라고 한다.
세번째는 let
키워드를 사용하여 선언한 변수를 선언부 이전에 호출한 모습이다. 두번째와 마찬가지로 Uncaught ReferenceError
가 발생했지만 에러 메세지는 Cannot access 'name' before initialization
라고 나온다.
V8 엔진을 뜯어보자
이 두개의 에러는 전혀 다른 에러로, V8 엔진 내부에서 사용하는 MESSAGE_TEMPLATE
에도 엄밀히 구분되어 있고 실제 호출되는 케이스도 다르다.
T(NotDefined, "% is not defined")
T(AccessedUninitializedVariable, "Cannot access '%' before initialization")
V8 엔진의 깃허브 레파지토리을 클론받아서 살펴본 결과 내부적으로 var
키워드로 선언된 JS 객체와 let
과 const
로 선언된 JS 객체를 분기로 갈라놓은 코드가 굉장히 많았다. 코드를 계속 분석해보면서 var
, let
, const
중 어떤 키워드를 사용하여 값을 선언하든 호이스팅은 항상 이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V8 엔진 내부의 호이스팅 플래그인 should_hoist
값을 JavaScript 객체에 할당할 때 변수 선언 키워드에 대한 구분을 하지않고 무조건 true
를 할당한다.
그렇다면 var
키워드와 let
, const
키워드의 차이는 어디서 오는 것일까? 변수를 선언할 때, 즉 V8이 변수 객체를 생성할 때는 전부 동일하게 처리하지만 변수를 위해 메모리에 공간을 확보하는 초기화 단계에서는 이 키워드들을 다르게 처리한다.
static InitializationFlag DefaultInitializationFlag(VariableMode mode) {
DCHECK(IsDeclaredVariableMode(mode));
return mode == VariableMode::kVar ? kCreatedInitialized
: kNeedsInitialization;
}
그러나 이후 진행 로직을 보면 DefaultInitializationFlag
라는 함수를 통해 V8 엔진 내부에서 사용되는 VariableKind
라는 타입을 반환하는데, 이때 var
키워드를 사용하여 선언한 변수는 kCreatedInitialized
값을, 그 외의 키워드인 let
과 const
로 선언한 변수는 kNeedsInitialization
키워드를 반환하고 있다.
즉 let, const 키워드로 선언한 리터럴 값은 호이스팅은 되나 특별한 이유로 인해 “초기화가 필요한 상태”로 관리되고 있다.
라고 말할 수 있다.
초기화가 필요한 상태는 무엇을 의미할까?
JavaScript 인터프리터 내부에서 변수는 총 3단계에 걸쳐 생성된다.
선언 (Declaration)
: 스코프와 변수 객체가 생성되고 스코프가 변수 객체를 참조한다.초기화(Initalization)
: 변수 객체가 가질 값을 위해 메모리에 공간을 할당한다. 이때 초기화되는 값은undefined
이다.할당(Assignment)
: 변수 객체에 값을 할당한다.
var
키워드를 사용하여 선언한 객체의 경우 선언
과 초기화
가 동시에 이루어진다. 선언이 되자마자 undefined
로 값이 초기화 된다는 것이다.
// v8/src/parsing/parser.cc
// Var 모드로 변수 선언 시
auto var = scope->DeclareParameter(name, VariableMode::kVar, is_optional,
is_rest, ast_value_factory(), beg_pos);
var->AllocateTo(VariableLocation::PARAMETER, 0);
V8 엔진의 코드를 보면 kVar
모드로 변수 객체를 생성한 후 바로 AllocateTo
메소드를 통해 메모리에 공간을 할당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그러나 let
이나 const
키워드로 생성한 변수 객체는 다르다.
// v8/src/parsing/parser.cc
// kLet 모드로 변수 선언 시
VariableProxy* proxy =
DeclareBoundVariable(variable_name, VariableMode::kLet, class_token_pos);
proxy->var()->set_initializer_position(end_pos);
// Const 모드로 변수 선언 시
VariableProxy* proxy =
DeclareBoundVariable(local_name, VariableMode::kConst, pos);
proxy->var()->set_initializer_position(position());
kLet
모드나 kConst
모드로 생성한 변수 객체들은 AllocateTo
메소드가 바로 호출되지 않았고 대신 소스 코드 상에서 해당 코드의 위치를 의미하는 position
값만 정해주는 것을 볼 수 있다.
바로 이 타이밍에 let
키워드나 const
키워드로 생성된 변수들이 TDZ(Temporal Dead Zone)
구간에 들어가는 것이다. 즉, TDZ
구간에 있는 변수 객체는
선언은 되어있지만 아직 초기화가 되지않아 변수에 담길 값을 위한 공간이 메모리에 할당되지 않은 상태
라고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해당 변수에 접근을 시도하면 얄짤없이 Cannot access '%' before initialization
에러 메세지를 만나게 되는 것이다.
블록 레벨 스코프를 사용한다
함수 레벨 스코프를 사용하는 var
키워드와 다르게 let
과 const
는 블록 레벨 스코프를 사용한다. 블록 레벨 스코프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블록 내부에서 선언한 변수 또한 전역 변수로 취급된다.
var globalVariable = 'I am global';
if (globalVariable === 'I am global') {
var globalVariable = 'am I local?';
}
console.log(globalVariable); // am I local?
그러나 let
과 const
키워드의 경우에는 블록 내부에서 선언한 변수는 지역 변수로 취급된다.
let globalVariable = 'I am global';
if (globalVariable === 'I am global') {
let globalVariable = 'am I local?';
let localVariable = 'I am local';
}
console.log(globalVariable); // I am global
console.log(localVariable); // Uncaught ReferenceError: localVariable is not defined
이 경우 블록 내부에서 선언된 localVariable
은 지역 변수로 취급되어 전역 스코프에서는 참조가 불가능하다. 참고로 let
과 const
는 호이스팅도 블록 단위로 발생한다.
let name = 'Global Evan';
if (name === 'Global Evan') {
console.log(name); // Uncaught ReferenceError: Cannot access 'name' before initialization
let name = 'Local Evan';
}
이 경우 if
문 내부에서도 전역 변수로 선언한 name
변수의 값인 Global Evan
이 출력될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if
문의 블록 내부에서도 호이스팅이 발생하여 지역 변수인 name
의 선언부가 블록의 최상단으로 끌어올려졌기 때문에 참조 에러가 발생한다.
let, const 키워드는 생략이 불가능하다.
name = 'Evan'
// 상기 코드는
var name = 'Evan'
// 과 같다
변수 선언 키워드를 사용하지 않으면 var
키워드를 사용한 것으로 취급되기 때문에 무조건 써줘야 한다.
const 키워드의 특징
let
키워드의 경우 위에서 설명한 이유들을 제외하면 변수
를 선언할 때 사용한다는 점에서 var
키워드와 동일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면 기존의 var
키워드와 다른 역할을 하는 const
에 대해서 조금 더 알아보자.
상수를 선언할 때 사용한다
위에서 설명했듯이 const
는 상수
를 선언할 때 사용하는 키워드이다. 상수
는 어떠한 불변 값을 의미한다. 즉, 한번 const
키워드를 사용하여 선언한 값은 두번 다시 변경할 수 없다는 뜻이다.
const maxCount = 30;
maxCount = 40; // Uncaught TypeError: Assignment to constant variable.
만약 const
키워드로 선언한 값을 재할당하려고 시도하면 친절한 에러메세지와 함께 불가능하다고 알려준다.
하지만 여기에 중요한 점이 있다. 바로 Call by reference
호출 방식을 사용하는 타입을 const
키워드로 선언 했을 때다.
const obj = { name: 'Evan' }
obj = { name: 'John' } // Uncaught TypeError: Assignment to constant variable.
이 경우 당연히 obj
변수가 바라보는 값 자체의 참조를 변경하려고 했기 때문에 에러가 발생한다. 그러나 객체 내부의 프로퍼티들은 const
키워드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const obj = { name: 'Evan' }
obj.name = 'John'
console.log(obj) // { name: 'John' }
이건 Call by reference
호출 방식을 사용하는 다른 타입인 Array
도 마찬가지다. const
키워드를 사용하여 선언했더라도 push
나 splice
등으로 배열 내부의 원소를 변경하는 행위에는 아무런 제약이 없다.
반드시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 해줘야 한다
let
키워드의 경우 명시적으로 선언만 했더라도 인터프리터가 해당 코드 라인을 해석함과 동시에 묵시적으로는 undefined
가 할당되며 초기화된다.
let hi;
console.log(hi); // undefined
그러나 const
키워드를 사용하는 경우 반드시 선언과 동시에 값을 할당해줘야 한다.
const hi; // Uncaught SyntaxError: Missing initializer in const declaration
결론
반드시 JavaScript ES5로 코드를 작성해야하는 안습한 경우를 제외한다면 var
키워드는 이제 더이상 사용하지 않는 것을 추천한다.
그렇다면 남은 것은 let
과 const
인데 이 친구들을 어떻게 사용하는 것이 좋을까?
라는 고민이 생긴다
사실 var
키워드만 쓰다보니까 생각도 안해본 사실인데, 생각보다 프로그램 내부에서 반드시 변수에 값을 재할당 해야하는 경우
는 많지 않다. 필자도 별다른 생각없이 코딩하다가 어느 날 작성했던 소스코드를 봤는데 대부분 const
키워드를 사용하여 변수를 선언했고 let
키워드는 몇군데 사용하지 않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만약 let
키워드를 사용해야한다면 절대 전역 스코프에서는 사용하지말고 가능하면 블록 스코프를 작게 만들고 그 내부에서 사용하는 것을 추천한다.
그리고 const
키워드의 경우 값을 재할당하려고 하면 바로 에러를 뿜뿜 해주기 때문에 개발자가 의도하지 않게 변수의 값이 재할당되는 슬픈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그렇기에 const
키워드를 잘 활용하여 안전한 코딩 라이프를 즐기고 다들 야근하지말고 칼퇴하시길 바란다.
이상으로 JavaScript의 let과 const, 그리고 TDZ 포스팅을 마친다.